
1. 🧭 실험 배경 : 제품 사용 경험자를 위한 정밀 타겟팅 실험
단기간에 참여형 프로모션의 전환율을 높이는 것은 퍼포먼스 마케팅에서 중요한 과제 중 하나입니다.
이번 실험은 특정 제품을 실제로 사용 중인 유저만 참여할 수 있는 응모형 이벤트를 기반으로,
한정된 예산 내에서 실제 반응 가능성이 높은 유저를 얼마나 효율적으로 찾아낼 수 있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진행하였습니다.

이벤트의 특성상, 이미 관련 제품을 사용하거나 브랜드에 높은 관심을 가진 고관여 타겟층이 중심이었습니다.
따라서 일반적인 인지도 캠페인보다 정교한 타겟팅과 빠른 최적화 전략이 필요했습니다.
이번 실험은 단순히 매체별 효율을 비교하는 수준을 넘어,
- 짧은 기간 내 행동 기반 타겟팅이 전환에 미치는 영향,
- 매체별 알고리즘 학습 속도와 퍼널 반응 차이,
- 마이크로 전환 지표(로그인, 회원가입 등)의 효율화 가능성을 함께 분석하였습니다.
특히 소액 예산 환경에서도 명확한 타겟 정의와 데이터 기반 세팅만으로 전환 효율을 확보할 수 있는지를 확인한 실험으로,
향후 제품 이용 경험자를 중심으로 한 리인게이지먼트 캠페인이나 관심 기반 이벤트 마케팅 전략 수립에도 활용할 수 있는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2. 🔎 고민 지점 : 타겟 설정과 매체 적합성
📌 고려한 주요 조건은 다음과 같았습니다 :
- 픽셀 & SDK를 기반으로 웹/앱 행동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을 것
- 에어브릿지와의 타겟 연동이 가능한 구조일 것
- 소액 집행도 가능하며, 단기 최적화가 빠른 매체일 것

이 기준을 바탕으로 두 채널을 선정하고, 동일한 조건에서 매체별 효율 차이를 검증할 수 있도록 실험 구조를 설계하였습니다.
3. ⚙️ 세팅 구조
이번 캠페인은 고관여 유저 대상의 이벤트 응모를 목표로, 매체별 정제된 타겟 세팅과 명확한 전환 흐름을 고려하여 운영하였습니다.
🎯 타겟 설정
- 기준 : 웹사이트/앱 내 특정 행동 기반 유저
- 활용 데이터 : 각 매체의 픽셀, SDK, 에어브릿지 연동 기반 이벤트 로그
- 매체별 주요 세팅 : 실제 제품을 소유하고 있을 확률이 높은 ‘고관여 유저’를 대상으로 광고를 집행하기 위해 정교한 타겟으로 세팅 진행
📍 광고 구성
카카오모먼트 소재 예시

Meta 소재 예시

4. 📊 성과 비교 요약

CTR과 회원가입 전환율에서는 Meta가, CPM과 ROAS 측면에서는 카카오모먼트가 우세한 결과를 보였습니다.
5. 🔍 인사이트
이번 캠페인은 이벤트 응모라는 비교적 고관여 행동을 유도하기 위한 테스트 캠페인으로, 매체별 타겟 정교도와 퍼널 내 전환 흐름을 비교·분석해볼 수 있었습니다.
✔️ 채널별 주요 인사이트
- Meta
- 상대적으로 광고 단가는 높았지만 CTR과 회원가입 CPA 모두 우수한 편
- 정밀 타겟 기반의 전환 유도력이 뛰어나며, 행동 기반 리인게이지에 적합
- 이벤트 응모 조건이 까다로운 고관여 타겟에게 정제된 메시지 전달력을 보임
- 카카오모먼트
- CPM이 낮아, 트래픽 확보 및 노출 확산에 유리
- 유입은 Meta와 유사한 수준이나, 전환 피로도가 빠르게 누적되어 전환수는 조기 감소
- 상대적으로 이벤트에 대한 관심 유입 풀을 빠르게 스프레드할 수 있는 강점
💡 최종 인사이트
6. ✍🏻 다음을 위한 정리
이번 실험은 고관여 유저를 대상으로 한 응모 전환 실험이었기에
광고 성과뿐 아니라 타겟 정교화 → 퍼널 설계 → 행동 유도 전반에 걸쳐 여러 시사점을 남겼습니다.
캠페인 설계 측면에서의 시사점
- 단기 이벤트일수록, 타겟의 ‘행동 의도’와 매체 메시지 간 일치율이 중요
- 마이크로 전환(로그인, 회원가입 등) 명확한 성과 정의 및 측정 수단 확보가 선행되어야
- 피로도가 빠르게 쌓이는 매체일수록 짧은 기간 내에 의미 있는 응답을 이끌 수 있는 명확한 CTA(행동 유도 문구)가 핵심
- ‘고관여’ 타겟이라도 전환장벽이 높거나 보상이 낮으면 이탈 확률 높음
짧은 기간의 테스트라도, 타겟-메시지-지표 정의가 명확하면 단기 성과 뿐 아니라 장기 전략에도 유의미한 인사이트를 남길 수 있는 실험이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