랜딩 페이지가 성과를 결정짓는 이유

퍼포먼스 마케팅에서 마케터가 조정할 수 있는 영역은 크게 세 가지입니다. 매체, 소재, 그리고 랜딩 페이지입니다. 많은 분들이 랜딩 페이지는 마케터가 직접 통제하기 어렵다고 생각하지만,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충분히 효율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 성과를 높일 수 있는 랜딩 페이지 내 구성 요소 제안 (예: 이벤트, 가격 할인, CTA)
  • 소재와의 연관성을 고려해 더 적합한 페이지로 랜딩 제안

랜딩 페이지에 신경을 써야 하는 이유는 명확합니다. 랜딩 페이지는 유저 이탈과 성과를 결정짓는 마지막 관문이자, 효율을 좌우하는 주요 변수이기 때문입니다.

매력적인 소재와 안정적인 매체 세팅이 있어도, 유저가 도착한 랜딩 페이지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으면 전환율은 현저히 낮아집니다.

테스트 가설 및 주요 지표

마티니에서 진행한 두 가지 랜딩 페이지 테스트를 소개합니다.
테스트에 앞서 두 가지 가설을 세우고, 효율을 판단할 수 있는 지표를 설정했습니다.

  1. 소재와 랜딩 페이지의 연관성이 높을수록 클릭 to 전환 CVR 이 높을 것이다
    • 클릭 to 전환 CVR
  2. 랜딩 페이지에 만족한 유저는 전환을 일으킬 것이다
    • 전환 수, 전환 CPA
    *모든 테스트는 랜딩을 제외한 다른 조건(매체, 예산, 타겟팅 등)을 최대한 동일하게 유지했습니다.

사례 1. 음악 구독형 앱, 랜딩 A/B 테스트 (KPI : 구독)

실험 설계

  • 랜딩 페이지 : 기본 앱 홈 화면 vs 이벤트 페이지
    1. 기본 앱 홈 화면
    2. 이벤트 페이지 : 구독 할인 문구, 할인 금액,  앱 주요 기능 등 다양한 전환 유도 요소 추가된 이벤트 페이지
  • 테스트 매체 : 구글, 몰로코(UA), 몰로코(RT), 틱톡

테스트 결과 :

  • CVR : 홈 화면, 이벤트 페이지 각각 2개 매체씩 우수
  • 구독 CPA : 총 4개 매체 중 3개 매체에서 이벤트 페이지가 우수

CVR의 경우, 두 랜딩에서 비슷한 효율이 확인되었으나 KPI인 구독 CPA를 달성하는데 ‘이벤트 페이지’의 효율이 더 우수했습니다.

→ 이를 통해 성과를 높일 수 있는 구성 요소 추가한 랜딩 페이지의 우수성을 확인했습니다.

사례 2. 라이프스타일 앱, 랜딩 A/B 테스트 (KPI : 가입)

실험 설계

  • 랜딩 페이지 : 일반 앱 스토어 vs A 기능 강조 맞춤 스토어
  • 테스트 개요 :
    • 해당 앱은 다양한 서비스 제공하는 멀티 앱으로, 그 중 특정 서비스 A의 활성화를 위해 A 기능을 강조한 소재를 테스트했습니다.
    • A 기능 강조 소재로 유입된 유저를 1) 일반 스토어와 2) A 기능을 강조해 제작한 맞춤 스토어 두 가지로 랜딩하며 비교 테스트를 진행했습니다.
  • 테스트 매체 : 메타, 몰로코, 카카오

테스트 결과 :

  • CVR / 가입 CPA 모두 총 3개 매체 중 3개 매체에서 맞춤 스토어 랜딩이 우수

→ 이를 통해 광고 소재의 메시지와 랜딩의 맥락이 일치 및 연관성이 높을수록 유저들의 전환 이후 행동(가입)이 활성화 되는 점을 확인했습니다.

좋은 랜딩 페이지의 조건

좋은 랜딩 페이지는 단순히 디자인이 깔끔한 페이지가 아닙니다. 광고 메시지와 일관성을 유지하며, 유저가 '무엇을 해야 하는지'를 명확하게 전달하는 페이지입니다.

마케터는 다음 세 가지를 점검해야 합니다.

  1. 광고 소재의 메시지와 랜딩 페이지의 콘텐츠가 일치하는가
  2. 유저가 원하는 정보를 빠르게 얻을 수 있는가
  3. 전환 유도 요소(문구, 버튼, 구성 등)가 충분히 명확한가

소재, 매체, 랜딩 페이지는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면서도 하나의 유저 여정을 구성합니다.
유저 경험과 효율을 개선하기 위해 랜딩 페이지를 한번 더 점검해 보는 것은 어떨까요?

CTA 이미지

성과 향상을 위해 고민하는 퍼포먼스 대행사를 찾고 있다면?

지금 아래 버튼을 눌러 마티니와 만나보세요.